반응형 이마트 배당금 높이고 자사주 소각...밸류업 성공할까? 목차이마트가 배당금을 25% 높이고, 회사가 보유한 자사주의 50% 이상을 소각하는 내용의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내놨다. 밸류업 공시를 내놓으면서 주가가 7% 이상 상승했다. 2월 11일 공시 내용이마트는 주당 최소 배당금을 기존 2000원에서 2500원으로 상향한다고 공시했다. 이에 이마트 주주는 2025년부터 2027년까지 3년동안 주당 최저 2500원의 배당을 바장받는다. 현재 이마트 주가는 6만7300원이다. 다만, 연간 영업이익의 20%를 주주환원 재원으로 하되, 환원 재원이 주당 2500원 미만일 경우 최 2500원을 지킨다는 것이다.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의 50% 이상을 소각한다. 이마트는 현재 전체 108만7466주(전체 주식의 3.9%)를 보유하고 있다. 2025년에서 2026.. 2025. 2. 12. SAMG엔터, 7분기만에 턴어라운드 했지만 연간은 여전히 마이너스 목차사랑의 하츄핑을 만드는 제작사인 에스에이엠지엔터테인먼트(SAMG엔터)가 지난해 4분기 매출액 419억원, 영업이익 90억원을 기록하며 10일 상한가를 기록했다. 이날 1만9790원을 기록하며 장을 마감했지만, 11일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 기대가 모아진다. 모처럼 흑자...몇개월만이라고? 7개월삼지엔터에 많은 주주들이 호응하는 것은 기대감에 비해 부진했던 경영실적 때문이다. 메탈카드봇, 캐치 티니핑 등 주력 애니메이션과 제품들을 내놓으면서도 경영실적은 그리 좋지 못했다. 이번 4분기 실적이 7분기만에 턴어라운드 했으나 연간 기준으로 보면 여전히 가야할 길이 멀다. 10일 공시자료를 보면, 지난해 매출액은 1164억원으로 전년도(951억원) 대비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마이너스 61억원으로 전년.. 2025. 2. 10. 옵티팜, 끝없이 내리 꽂는 차트...반등할까? 목차동물 약품 제조회사인 옵티팜의 주가가 끊임없이 내리고 있다. 뉴스를 찾아보면 기술개발이 성과를 보이고 있어 호재로 작용할 요소들이 많아 보인다. 현재 주가가 바닥이 될지, 아니면 지하를 뚫고 더 내려가게 될지 주목된다. 옵티팜은 뭐하는 회사?옵티팜의 사업영역은 질병예방용 사료첨가제인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개발, 실험용동물인 미니피그, 동물약품, 동물진단, 등의 사업을 운영중이다. 주로 동물약품(46%)과 동물진단(21%) 분야 매출이 높은 편이다. 주로 수출보다는 내수에 집중된 사업구조다. 그렇다면 사업의 확장성이 크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외에 옵티팜은 동물의 유해균을 제거할 수 있는 박테리오파지를 개발하고 있다. 살모넬라균, 병원성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 다양한 동.. 2025. 1. 6. 2025년 의료기기 디지털헬스...비중확대가 답! 목차2025년도 제약,바이오에 이어 의료기기와 디지털헬스 분야도 비중을 확대해야 한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미래에셋증권은 11월 22일 '섹터 리레이팅으로 이어질 글로벌 확장관 변신'이라는 제목으로 의료기기/디지털헬스 분야 비중을 늘리는 것이 좋다는 의견을 내놨다. 눈여겨볼만한 대목들을 몇가지 짚어봤다. 2024년은 변동성이 컸던 한해 미래에셋증권은 2024년을 어느때보다 변동성이 컸던 한해라고 평가했다. 상승종목들이 다수 있지만, 예전에 배해 연간 수익률이 높은 종목은 엠아이텍, 바이오노트, 클래시스, 이오플로우, 파마리서치 등으로 많지 않음. 그중 파마리서치의 성장세가 높았던 것으로 보인다. 내년 실적 역시 눈여겨봐야 될 종목 중 하나다 파마리서치는 가장 눈여겨 봐야 할 종목 중 하나다. 2024.. 2024. 11. 24. 2025년 제약 바이오 트렌드 전망 목차2025년의 제약바이오 트렌드는 어떨까? 키움증권의 '2025 제약바이오 연간전망'을 토대로 살펴봤다. 1. 미국에서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보건복지부 장관에 케네디JR가 임명. 신약 승인과 관련한 규제나 기준 강화미국 보건복지부 장관에 케네디 주니어가 임명되자 주요 제약 바이오 지수가 하락했다. 11월8~15일, S&P헬스케어 지수는 -5.5%, S&5500 -2.1% 대비 하회미 보건복지부 산하에는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식품의약국(FDC), 국립보건원(NIH) 등이 있음. 이 중 CDC 조직 해체 가능성도 존재하는 것으로 전해짐. 트럼프는 "너무 오랫동안 미국인들이 공중보건과 관련해 기만, 허위정보를 퍼뜨리는 제약회사에 의해 짓밟혀 왔다"고 말함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정부효율부'(DOGE) .. 2024. 11. 21. 2024년 11월 제약 바이오 주요 뉴스 목차11월 둘째주 국내 제약 바이오와 관련한 이슈들이다. 자료는 키움증권 보고서가 기반이 됐다. 셀트리온스텔라라 바이오시밀러 '스테키마'(자가면역질환제) 유럽 출시 (11/4)독일과 네덜란드에서 출시됐고, 이달 내 핀란드 및 아일랜드 등에 확대할 계획. 올해 3분기 실적은 연간 매출액 8819억원, 영업이익 2077억원으로 지난해 대비 매출액은 31% 상승했으나 영업이익은 22% 감소했음. 짐펜트라 64억원, 램시마SC 1709억원(YoY +96%), 램시마/인플렉트라 3,172억원(YoY +89%) 등 달성올릭스, 비만치료제 OLX702AMASH(지방간염)/비만 후보물질을 임상1상 중간데이터 결과 지방간감소/항비만 효력 긍정 (11/4)호주에서 임상 진행중인 'OLX702A'의 데이터임. 60여명 피.. 2024. 11. 12. 2024년 3분기 씨젠, 셀트리온, sk바이오팜 등 실적 정리 목차올해 3분기 주요 제약업체들의 실적들을 되짚어 봤다. 내용들은 향후에도 추가될 예정이다. 씨젠, 3분기 흑자전환 2024년 3분기 씨젠은 영업이익 5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기간(영업손실 101억원)과 비교해 흑자전환했다. 매출은 1088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18.4%증가했다. 순이익은 17억원이다. 비코로나 제품 매출이 13분기 연속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실적을 이끌었다. 시약매출이 904억원으로 전체의 83%를 차지. SK바이오팜SK바이오팜이 2024년 3분기 매출 1366억원, 영업이익 193억원을 달성했다. 지난해 대비 매출은 51.2%,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뇌전증 신약 세노바메이트의 미국 시장 판매 호조가 성장을 이끌었다. 세노바메이트는 지난 2분기 미국 판매 1.. 2024. 11. 9. 2024년 3분기 휴젤 매출액 영업이익 주가 목차2024년 3분기 휴젤의 매출액은 1051억원, 영업이익 534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매출액은 23.9%, 영업이익은 54.5%가 증가한 수치다. 예측 컨센서스도 넘어섰다. 미국 매출이 증가하고, 판관비가 6.8% 감소했기 때문이다. 영업이익률은 50.8%다. 올해 2월 '레티보'가 미국 FDA 허가를 받아냈고, 8월에는 미국 파트너사 BENEV와 계약을 체결, 9월에는 초도 물량 출하 등 미국 모멘텀이 커지면서 외형성장과 마진 개선 모두 성공했기 때문이다. 미국내 자회사 휴젤 어메리카의 인력 구조조정으로 고정비 부담이 줄면서 영업이익률은 사상 최대치인 50.8%를 기록했다. 미국 매출 비중 커진다국내 톡신은 3분기 매출액 228억원 수준이다. 국내 경쟁의 심화에도 불구하고 거.. 2024. 11. 8. 이전 1 2 3 4 5 ··· 18 다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