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주식7

공매도, 알고 보면 이렇게 돈 버는 방식이다 목차주식으로 돈 버는 방식은 보통 이렇다. 싸게 사서 비싸게 판다. 그런데 공매도는 그 반대다. 비싸게 먼저 팔고, 싸게 사서 갚는다.이게 가능하려면 없는 주식을 먼저 팔 수 있어야 하는데, 실제론 남의 주식을 빌려서 파는 구조다. 그래서 공매도는 ‘없는 주식을 판다’고 말하는 거다.공매도의 기본구조 예를 들어 A라는 주식을 10만 원에 빌려서 판다고 해보자. 며칠 뒤 주가가 8만 원으로 떨어지면, 그때 다시 사서 되돌려준다.팔아서 번 10만 원에서 8만 원만 써서 갚았으니, 2만 원이 남는다. 이게 공매도 수익이다.공매도는 결국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전략이다. 상승장보다 하락장에서 수익이 나는 구조다.그럼 주식은 누구한테 빌릴까? 공매도할 때 주식은 보통 기관 투자자들한테서 빌린다. 연기금, 자산운용사.. 2025. 4. 8.
두산로보틱스 횡보하는 주가에 쌓여가는 피로감 목차  최근 주식 시장에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두산로보틱스는 국내 협동로봇 시장의 선두주자로 자리 잡고 있다. 2023년 코스피 상장 이후 높은 관심을 받고 있는 만큼, 주가 흐름과 주요 이슈, 향후 사업성을 분석해보자.1. 두산로보틱스 개요설립연도: 2015년주요사업: 협동로봇 개발 및 제조상장일: 2023년 10월주요 고객사: 삼성전자, 현대차 등 다양한 산업 분야 기업두산로보틱스는 산업 자동화의 핵심 기술인 협동로봇을 개발하며, 제조업, 서비스업, 의료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로봇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2. 최근 주가 흐름두산로보틱스는 상장 이후 급격한 주가 상승을 보였으며, 이후 조정을 거치며 변동성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큰 변동 없이 횡보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관심.. 2025. 2. 16.
신세계 백화점, 이마트 분리한다는데? 목차  신세계그룹이 백화점 부문과 이마트 부문의 계열 분리를 시작한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은 이마트와 그 계열사를, 정유경 (주)신세계 회장은 신세계 백화점과 그 계열사를 맡는다.  이 같은 계열 분리에 따라 향후 사업 방향성이 주목된다. 신세계그룹은 이마트... (주)신세계는 백화점 단기적으로는 신세계백화점이나 이마트와의 파트너쉽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는 견해가 많다. 다만, 계열이 분리되면 신규 사업 등 중장기적으로는 각자의 방향성에 따라 갈길이 달라지기 때문에 시너지 등의 면에서 변화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정용진 회장이 이끄는 이마트 부문은 스타필드, 스타벅스, 편의점 등의 사업을 영위한다.  정유경 회장이 이끄는 백화점 부문은 신세계 백화점을 비롯해 패션, 뷰티, 면세와 아울렛 사업.. 2024. 11. 6.
슈드(SCHD)로 경제적 자유 기반 다질 수 있을까? 경제적 자유를 얻기 위해 해야 할 일들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꼬박꼬박 나오는 배당주를 모아가는 것인데요. 오늘은 슈드(SCHD)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슈드란? 슈드(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슈와브 US 디비던드 에쿼티)는 ETF의 일종으로 미국 주식 100개의 시가 총액지수를 추종하는 ETF입니다. 운용자산은 68조 8000억 원에 이릅니다. 배당은 분기(3, 6, 9 12월)마다 이뤄집니다. 1주당 배당금은 연 2.65달러 수준으로 배당수익률은 3.4% 수준입니다. 고배당 주는 아니지만, 배당금이 꾸준히 성장하기 때문에 장기 투자하는 경우 유리하다고 평가받습니다. 주가는 5년 전 대비 50% 중반 이상 상승 1월 16일 기준 슈드는 76.27달러입니다. 5년.. 2024. 1. 16.
728x90
반응형